[백준][JAVA] BOJ 12100 2048 (Easy)

2023. 2. 22. 15:28· 코딩테스트준비/백준
목차
  1. 문제 읽기🤔
  2. 문제 풀이📝
  3. 구현🛠️
  4. 실행결과✅
반응형

 

문제 읽기🤔


문제

2048 게임은 4×4 크기의 보드에서 혼자 즐기는 재미있는 게임이다. 이 링크를 누르면 게임을 해볼 수 있다.

이 게임에서 한 번의 이동은 보드 위에 있는 전체 블록을 상하좌우 네 방향 중 하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1)같은 값을 갖는 두 블록이 충돌하면 두 블록은 하나로 합쳐지게 된다. 2)한 번의 이동에서 이미 합쳐진 블록은 또 다른 블록과 다시 합쳐질 수 없다. (실제 게임에서는 이동을 한 번 할 때마다 블록이 추가되지만, 이 문제에서 블록이 추가되는 경우는 없다) 마지막으로, 3)똑같은 수가 세 개가 있는 경우에는 이동하려고 하는 쪽의 칸이 먼저 합쳐진다.

이 문제에서 다루는 2048 게임은 보드의 크기가 N×N 이다. 보드의 크기와 보드판의 블록 상태가 주어졌을 때, 최대 5번 이동해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블록의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보드의 크기 N (1 ≤ N ≤ 2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게임판의 초기 상태가 주어진다. 0은 빈 칸을 나타내며, 이외의 값은 모두 블록을 나타낸다. 블록에 쓰여 있는 수는 2보다 크거나 같고, 1024보다 작거나 같은 2의 제곱꼴이다. 블록은 적어도 하나 주어진다.

 

출력

최대 5번 이동시켜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블록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3
2 2 2
4 4 4
8 8 8

 

예제 출력 1

16

 

 

문제 풀이📝


최대 5번 이동할 수 있고,

한 번 이동할 시 상,하,좌,우 4가지의 선택지가 있기 때문에 중복순열을 사용하였다.

static void game(int cnt){

        // 5번 움직인 후의 최댓값을 구한다.
        if (cnt == 5){
            for (int i = 0; i < n; i++){
                for (int j = 0; j < n; j++) {
                    max = Math.max(max, map[i][j]);
                }
            }
            return;
        }

        // 원본 배열을 저장할 copied 배열
        int[][] copied = new int[n][n];
        for (int i = 0; i < n; i++){
            copied[i] = Arrays.copyOf(map[i], n);
        }

        // 모든 경우의 수 탐색
        for (int dir = 0; dir < 4; dir++) {
            swipe(dir);
            game(cnt + 1);
            for (int i = 0; i < n; i++) {
                map[i] = Arrays.copyOf(copied[i], n);
            }
        }
}

또한, swipe() 메소드를 수행할 때마다 원본 배열이 수정되기 때문에

copied 배열을 만들어서 원본 배열을 복사하고 재귀함수에서 return할 때 다시 원본 배열에 덮어씌워줬다.

 

이동 명령에 따라 블럭을 이동시키거나 합치는 로직이다. (예시는 위로 이동)

// UP
for (int i = 0; i < n; i++) {
	int idx = 0;
	int number = 0;
	for (int j = 0; j < n; j++) {
        // 해당 칸이 0이 아니라면 -> 합치거나 이동시키거나 해야 함
        if (map[j][i] != 0){
            // number(직전 블록의 숫자)와 같은 수라면 -> 합친다
            if (number == map[j][i]){
                // 해당 블록을 0으로 만듦
                map[j][i] = 0;
                // 직전 블록의 숫자를 2배
                map[idx - 1][i] = number * 2;
                // 한 번 합쳐진 블록은 또 합쳐질 수 없으므로
                number = 0;
            }
            // 직전 블록의 숫자와 다른 수라면 -> 이동시킨다
            else {
                // number를 갱신한다
                number = map[j][i];
                // 기존 블록을 이동시킬 것이므로 기존 블록은 0
                map[j][i] = 0;
                // 목적지 블록의 숫자를 기존 블록의 숫자로 갱신
                map[idx][i] = number;
                // 목적지 블록의 뒤를 가리킴(목적지 갱신)
                idx++;
            }
		}
	}
}

직전 블록의 인덱스값 + 1 (직전블록 바로 다음 위치)과  직전 블록에 적힌 숫자를 저장하였고

직전 블록과 다음 블록의 숫자가 같다면, 직전 블록과 다음 블록을 합치고

직전 블록과 다음 블록의 숫자가 다르다면, 직전 블록 바로 다음으로 다음 블록을 위치시킨다.

 

구현🛠️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static int[][] map;
    static int max;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map = new int[n][n];
        max = Integer.MIN_VALUE;

        for (int i = 0; i < n; i++)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j = 0; j < n; j++) {
                map[i][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game(0);

        System.out.println(max);

    }

    static void game(int cnt){

        // 5번 움직인 후의 최댓값을 구한다.
        if (cnt == 5){
            for (int i = 0; i < n; i++){
                for (int j = 0; j < n; j++) {
                    max = Math.max(max, map[i][j]);
                }
            }
            return;
        }

        // 원본 배열을 저장할 copied 배열
        int[][] copied = new int[n][n];
        for (int i = 0; i < n; i++){
            copied[i] = Arrays.copyOf(map[i], n);
        }

        // 모든 경우의 수 탐색
        for (int dir = 0; dir < 4; dir++) {
            swipe(dir);
            game(cnt + 1);
            for (int i = 0; i < n; i++) {
                map[i] = Arrays.copyOf(copied[i], n);
            }
        }
    }

    // dir: 0 - up, 1 - down, 2 - left, 3 - right
    static void swipe(int dir){

        switch (dir){
            case 0:
                for (int i = 0; i < n; i++) {
                    int idx = 0;
                    int number = 0;
                    for (int j = 0; j < n; j++) {
                        // 해당 칸이 0이 아니라면 -> 합치거나 이동시키거나 해야 함
                        if (map[j][i] != 0){
                            // number(직전 블록의 숫자)와 같은 수라면 -> 합친다
                            if (number == map[j][i]){
                                // 해당 블록을 0으로 만듦
                                map[j][i] = 0;
                                // 직전 블록의 숫자를 2배
                                map[idx - 1][i] = number * 2;
                                // 한 번 합쳐진 블록은 또 합쳐질 수 없으므로
                                number = 0;
                            }
                            // 직전 블록의 숫자와 다른 수라면 -> 이동시킨다
                            else {
                                // number를 갱신한다
                                number = map[j][i];
                                // 기존 블록을 이동시킬 것이므로 기존 블록은 0
                                map[j][i] = 0;
                                // 목적지 블록의 숫자를 기존 블록의 숫자로 갱신
                                map[idx][i] = number;
                                // 목적지 블록의 뒤를 가리킴(목적지 갱신)
                                idx++;
                            }
                        }
                    }
                }
                break;
            case 1:
                for (int i = 0; i < n; i++) {
                    int idx = n - 1;
                    int number = 0;
                    for (int j = n - 1; j >= 0 ; j--) {
                        if (map[j][i] != 0){
                            if (number == map[j][i]){
                                map[j][i] = 0;
                                map[idx + 1][i] = number * 2;
                                number = 0;
                            }
                            else {
                                number = map[j][i];
                                map[j][i] = 0;
                                map[idx][i] = number;
                                idx--;
                            }
                        }
                    }
                }
                break;
            case 2:
                for (int i = 0; i < n; i++) {
                    int idx = 0;
                    int number = 0;
                    for (int j = 0; j < n; j++) {
                        if (map[i][j] != 0){
                            if (number == map[i][j]){
                                map[i][j] = 0;
                                map[i][idx - 1] = number * 2;
                                number = 0;
                            }
                            else {
                                number = map[i][j];
                                map[i][j] = 0;
                                map[i][idx] = number;
                                idx++;
                            }
                        }
                    }
                }
                break;
            case 3:
                for (int i = 0; i < n; i++) {
                    int idx = n - 1;
                    int number = 0;
                    for (int j = n - 1; j >= 0; j--) {
                        if (map[i][j] != 0){
                            if (number == map[i][j]){
                                map[i][j] = 0;
                                map[i][idx + 1] = number * 2;
                                number = 0;
                            }
                            else {
                                number = map[i][j];
                                map[i][j] = 0;
                                map[i][idx] = number;
                                idx--;
                            }
                        }
                    }
                }
                break;
        }
    }
}

 

실행결과✅

'코딩테스트준비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JAVA] BOJ 16954 움직이는 미로 탈출  (1) 2023.05.01
[백준][JAVA] BOJ 14890 경사로  (0) 2023.02.22
[백준][JAVA] BOJ 2812 크게 만들기  (0) 2023.02.15
[백준][JAVA] BOJ 2212 센서  (0) 2023.02.15
[백준][JAVA] BOJ 11000 강의실 배정  (0) 2023.02.15
  1. 문제 읽기🤔
  2. 문제 풀이📝
  3. 구현🛠️
  4. 실행결과✅
'코딩테스트준비/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준][JAVA] BOJ 16954 움직이는 미로 탈출
  • [백준][JAVA] BOJ 14890 경사로
  • [백준][JAVA] BOJ 2812 크게 만들기
  • [백준][JAVA] BOJ 2212 센서
소윤파크
소윤파크
아는 만큼 보인다.
소윤파크
쏘's 코드
소윤파크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27)
    • Spring (2)
      • Annotation (1)
      • JUnit (0)
      • JPA (0)
    • IDE (0)
    • Java (0)
    • 도전 (3)
    • 알고리즘 (1)
    • 코딩테스트준비 (15)
      • 백준 (13)
      • 프로그래머스 (2)
    • 잡학다식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BOJ14725
  • BOJ 3665
  • 3진법뒤집기
  • 프로그래머스
  • 골드
  • 등산마니아
  • 전구와 스위치
  • 삼성청년SW아카데미
  • 알고리즘
  • BOJ14890
  • 코테
  • 움직이는 미로 탈출
  • Prim 알고리즘
  • 그리디
  • 트라이 알고리즘
  • 2018 KAKAO RECRUITMENT
  • 트리에서의 DP
  • 우테코
  • Java
  • 오공완
  • BOJ1931
  • 코딩테스트
  • 백준
  • 구현
  • BOJ 1368
  • 모노미노도미노2
  • 우아한테크코스
  • 최종 순위
  • 물대기
  • 시뮬레이션

최근 댓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v4.2.2
소윤파크
[백준][JAVA] BOJ 12100 2048 (Easy)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